셧다운 현실화되면 주요 경제지표 한동안 '깜깜이' 가능성

BOJ 3분기 단칸지수 1일 나와…우에다 총재, 이틀 뒤 연설

(서울=연합인포맥스) 김성진 기자 = 이번 주(9월29일~10월3일) 뉴욕 외환시장은 우선 미국 연방정부의 일시적 업무 정지(셧다운) 가능성에 주목하며 한 주를 출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내달 1일 2026 회계연도가 시작되기 전에 예산안에 대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상당수 정부 기관의 활동이 멈추게 된다.

셧다운이 현실화하면 이번 주 최대 이벤트로 꼽히는 미국의 9월 고용보고서(3일) 발표가 연기될 수 있다. 셧다운이 길어진다면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 15일) 발표 등에도 차질이 빚어지면서 시장 참가자들이 한동안 경제의 향방을 점치기 어려운 '깜깜이' 상황에 놓일 수도 있다.

CNN 등 미 언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9일 공화당 소속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과 척 슈머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 등 양당 지도부와 회동할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막판 합의 가능성은 여전히 안갯속이다.

미국 경제지표는 최근 완연한 반등 양상을 보이고 있다. 미국의 경제성장률을 실시간으로 추정하는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의 'GDP 나우(now)' 모델은 3분기 성장률을 전기대비 연율 3.9%까지 끌어올린 상황이다.

애틀랜타 연은 'GDP 나우'의 3분기 성장률 추정치 추이.
출처: 애틀랜타 연은 홈페이지.

9월 비농업부문 고용 증가폭의 컨센서스는 3만9천명~5만명 정도로 형성돼 있다. 8월(+2만2천명)이나 최근 3개월 이동평균치(+2만9천명)에 비해 호전됐을 것이라는 예상이다.

이민 감소로 인해 고용에 대한 눈높이가 낮아진 점을 고려하면 예상치대로만 나와도 노동시장 냉각에 대한 우려는 다소 사그라들 수 있다. 실업률은 8월과 같은 4.3%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주 달러 동향

지난주 달러화 가치는 2주 연속 상승했다. 미국 2분기 경제성장률의 대폭 상향 속에 경기 우려가 퇴조했고, 연방준비제도(연준ㆍFed)가 연내 두 번 더 금리를 내릴 수 있을지에 대한 의구심이 커졌다.

연합인포맥스의 달러인덱스 및 이종통화 등락률 비교(화면번호 6400번, 6443번)에 따르면, 지난 26일(이하 현지시간) 기준 주요 6개국 통화에 대한 달러화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DXY)는 전주대비 0.526포인트(0.54%) 상승한 98.173에 거래를 끝냈다.

달러인덱스는 지난주 후반 50일 이동평균선을 회복했다. 주간 종가 기준으로 98을 웃돈 것은 7주 만에 처음이다.

달러인덱스 일간 차트.
출처: 연합인포맥스.

달러-엔은 149.508엔으로 전주대비 1.05% 상승(달러 대비 엔화 약세)했다. 5주 연속 올랐다.

미국 경제지표의 호조 속에 달러-엔은 한때 149.958엔까지 오르면서 지난 8월 초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어느덧 150엔선이 가시권에 들어왔다.

유로는 달러에 대해 4주 만에 처음으로 약해졌다. 유로-달러 환율은 1.17029달러로 전주대비 0.37% 하락(유로 대비 달러 강세)했다.

유로는 미국의 2분기 경제성장률이 대폭 상향했다는 소식에 1.165달러 부근까지 밀리는 등 1.17달러 선이 잠시 무너지기도 했다.

유로-달러 환율 일간 차트.
출처: 연합인포맥스.

엔화의 상대적 약세 속에 유로-엔 환율은 174.93엔으로 전주대비 0.64% 높아졌다. 4주째 오름세를 이어갔다. 한때 작년 7월 이후 처음으로 175엔을 웃돌기도 했다.

파운드-달러 환율은 1.34030달러로 전주대비 0.52% 내렸다. 2주 연속 후퇴했다.

역외 달러-위안(CNH) 환율은 7.1427위안으로 지난주 대비 0.32% 높아졌다. 3주 만에 반등했다.

◇이번 주 달러 전망

고용보고서 외에도 이번 주는 무게감 있는 미국 경제지표들이 많다. 고용보고서 발표가 연기된다면 고용정보기업 ADP의 9월 민간고용(1일)에 대한 관심이 평소보다 높아질 수도 있다.

하루 앞서 발표되는 지난 8월 'JOLTS'(구인·이직 보고서)도 영향력이 커질 수 있다. 시장이 항상 주시하는 미국 공급관리협회(ISM)의 구매관리자지수(PMI)도 이번 주에 나온다. ISM의 9월 제조업 PMI와 서비스업 PMI는 1일과 3일 각각 발표된다.

이밖에 경제지표로는 8월 잠정주택판매(29일), 9월 시카고 PMI와 콘퍼런스보드(CB)의 같은 달 소비자신뢰지수, 7월 S&P-케이스실러 주택가격지수(30일), S&P 글로벌의 9월 제조업 PMI 확정치와 8월 건설지출(1일), 8월 공장주문(2일), S&P 글로벌의 9월 서비스업 PMI 확정치(3일) 등이 있다.

연준 고위 관계자 중 시장 영향력이 큰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는 29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리는 행사에서 지급결제를 주제로 연설한다. 필립 제퍼슨 부의장은 통화정책 프레임워크과 경제전망을 주제로 30일과 내달 3일 마이크를 잡는다.

1일 공개되는 일본은행(BOJ)의 3분기 전국기업 단기경제관측조사(단칸)는 내달 말 BOJ의 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하는 데 있어 중요한 재료로 꼽힌다. 이번 조사에서 대형 제조업 업황 판단지수는 2분기 13에서 14~15로 다소 개선됐을 것으로 예상된다.

우에다 가즈오 BOJ 총재는 단칸 발표 이틀 뒤인 3일 오사카에서 연설에 나선다. 단칸 결과에 따라 우에다 총재가 금리 인상 신호를 제시할 수도 있다.

지난달 25bp 금리 인하를 결정했던 호주중앙은행(RBA)은 30일 통화정책회의에서 정책금리를 3.60%로 동결할 것으로 예상된다. RBA는 11월과 12월 등 올해 남은 두 번의 회의에서 한 번 더 금리를 내릴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sjkim@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2시 41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뉴욕채권-주간] 美 고용도 좋아질까…셧다운시 발표 연기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