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규선 기자 = 정부가 발표한 고강도 가계부채 관리 방안이 단기적으로 건설주 주가 상승세에 제동을 걸 수 있으나 중장기적인 개선 방향성은 훼손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하나증권은 27일 보고서에서 "수도권 중심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이 초고가 주택 거래를 둔화시키고 실거주 목적의 거래 비중을 높일 것"이라며 이같이 전망했다.
김승준, 하민호 하나증권 연구원은 "최근 주택주들이 중장기적 개선 방향성을 단기 주가 상승으로 반영하고 있었으므로 이번 규제로 주가 움직임이 다소 둔화될 수 있다"면서도 "중장기적 전망의 방향성 자체는 변함이 없다"고 평가했다.
정부는 이날 ▲가계대출 총량 감축 ▲수도권 대출 기준 강화 ▲정책·신용대출 축소를 골자로 하는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주요 내용으로는 수도권 다주택자의 추가 주택 구매 시 주택담보대출비율(LTV) 0% 적용, 수도권 주담대 최대한도 6억 원 제한, 대출만기 30년 제한, 6개월 내 전입 의무 부과 등이 포함됐다.
하나증권은 이번 조치로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시장으로 초고가 주택 시장을 꼽았다.
김 연구원은 "기존에는 소득에 따라 10억 원 이상의 대출이 가능했지만, 이제는 6억 원으로 제한돼 나머지는 자기자본으로 조달해야 한다"며 "이에 따라 초고가 주택 거래는 둔화하고, 자기자본으로 조달 가능한 가격대의 주택 위주로 거래가 이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건설업에 미치는 영향은 단기적으로는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했다.
김 연구원은 "최근 가격이 상승한 서울 및 인근 지역은 대부분 재건축·재개발 사업지로 시세가 오른다고 바로 착공으로 이어지기 어렵다"며 "이는 관리처분인가, 이주, 철거 등 시간이 필요한 과정이 남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이들 지역의 가격 상승이 다른 지역으로 확산할 때 사업성 개선에 따른 착공 증가가 나타날 수 있다"며 중장기적인 긍정론은 유지했다.
한편 하나증권은 건설업종에 대해 '비중확대(Overweight)' 의견을 유지했으며, 최선호주(Top Pick)로 HDC현대산업개발을 꼽았다.

kslee2@yna.co.kr
(끝)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