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오진우 기자 = 올해 7월 수입물가가 국제유가와 달러-원 환율이 오른 영향으로 6개월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2025년 7월 수출입물가지수 및 무역지수(잠정)'에 따르면 원화기준 수입물가는 전달보다 0.9% 상승했다.

수입물가는 지난 2월부터 6월까지 다섯 달 연속 전월비 하락했던 데서 여섯 달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7월 수입물가는 전년동월대비로는 5.9% 내렸다.

수입 물가 전월비 및 전년동월비 추이
한국은행

달러-원 평균 환율은 지난 6월 1,366.95원에서 7월에 1,375.22원으로 0.6% 올랐다.

두바이유 평균 가격도 6월 배럴당 69.26달러에서 7월에는 70.87달러로 2.3% 오르며 수입물가에 상승 압력을 가했다.

원유를 중심으로 원재료 가격은 전월비 1.5% 올랐다. 중간재도 0.6% 상승했고, 자본재도 0.5% 올랐다.

환율 효과를 제외한 7월 계약통화기준 수입물가는 전달보다 0.3% 올랐고, 전년동월대비 6.2% 내렸다.

7월 수출물가(원화기준)는 전달보다 1.0% 올랐다. 전년동월대비로는 4.3% 하락했다.

농림수산품이 전월대비 4.2% 하락했다. 공산품은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 석탄 및 석유제품 등을 중심으로 전월대비 1.0% 상승했다.

계약통화기준 수출물가는 전월대비 0.4% 올랐고, 전년동월대비로는 4.3% 하락했다.

무역지수를 보면 7월 수출물량지수는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 운송장비 등이 증가해 전년동월대비 8.2% 상승했다. 수출금액지수는 4.3% 올랐다.

같은 달 수입물량지수는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 기계 및 장비 등이 증가해 7.8% 상승했다. 수입금액지수는 1.8% 높아졌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전년동월대비 2.1% 올랐다. 수입가격이 5.6% 내렸지만, 수출가격은 3.6% 하락하는 데 그친 영향이다.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순상품교역조건지수가 2.1% 오르고, 수출물량지수 8.2% 상승한 영향으로 전년동월대비 10.5% 올랐다.

jwoh@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06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