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보고 하는 구윤철 부총리
[출처 : 연합뉴스 자료사진]

(세종·서울=연합인포맥스) 박준형 황남경 기자 =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최근 우리 경제에 대해, "올해 2분기 이후 지속된 부진 흐름이 반전되고, 하반기에는 소비 심리 개선과 추경 등 정책 효과로 상반기 대비 개선될 것"이라고 밝혔다.

구 부총리는 19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다만, 그는 "미국 관세 부과, 주요국 통상 갈등 등 성장 교역 둔화가 우려되고, 불안정한 먹거리 물가 등으로 서민의 삶은 아직 어렵다"며 "우리 경제 곳곳에 불확실성은 여전하다"고 짚었다.

구 부총리는 단기적으로 경기회복과 민생안정, 대외 불확실성 관리에 집중하는 한편 중장기적으로 인공지능(AI) 등 기술 패러다임에 맞춰 초혁신 경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구상을 밝혔다.

그는 "한국을 글로벌 1등 경제로 도약시킬 수 있는 초혁신 기술 아이템을 선정해, 이를 구현하기 위한 선택과 집중으로 반드시 성과를 내겠다"며 "정부가 할 수 있는 재원, 인력, 규제 완화 등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민생 안정 방안으로 추경의 신속 집행과 지역 중심의 소비·건설 경기 보강을 통해 내수 활력을 높이겠다고 설명했다.

구 부총리는 "높은 생활물가 등 국민이 체감하는 생계비 부담을 완화하고 소상공인 금융 비용 경감, 매출 기반 확대 지원을 병행하겠다"며 취약계층의 경제활동 참여 지원과 기초생활보장제도 강화를 약속했다.

대외 분야에서는 미국과의 관세 협상 후속 협의에 적극 대응하고, 피해 지원 방안을 마련해 경제안보 기능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그는 "국익 중심의 실용 외교를 통해 글로벌 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외환시장과 국가 신용등급의 안정적 관리에도 만전을 기하겠다"고 부연했다.

재정운용 방향에 대해서는 "성과 중심으로 전환해 저성과 부문은 과감히 구조조정하고, 성과가 높은 분야에 재정을 집중적으로 투입하겠다"고 말했다.

공공기관에도 국가 전략 아젠다별 핵심 과제를 배분해 추진토록 하고, 미래 전략산업 세제 지원 확대, 중산·서민층 세 부담 경감, 합리적 과세체계 마련 등을 포함한 세제 개편안을 준비하겠다고 덧붙였다.

jhpark6@yna.co.kr

nkhwang@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0시 34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구윤철, '경제 아마추어 정부' 野 비판에 "좀 과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