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센트 "관세가 국내 제조업 강화하고 건설·공장 일자리 창출할 것"

(서울=연합인포맥스) 윤시윤 기자 =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미국 기업과 소비자에게 피해를 준다는 주장에 반박하고 나섰다.

7일(현지시간) 베선트 장관은 NBC와의 인터뷰에서 "손가락을 튕긴다고 공장이 바로 세워지는 것은 아니"라며 관세가 단기 비용보다 장기적으로 미국 경쟁력에 기여하는 혜택이 더 크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이번 전방위적 관세 조치가 미국 내 제조업을 강화하고, 새로운 건설 및 공장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베선트 장관은 이어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이 시행된 지 "몇 달에 불과하다"며 "4분기에 '상당한 가속화(substantial acceleration)'를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실제로 미국은 8월 한 달 동안 310억 달러 이상의 관세 수익을 거둬 2025년 월간 기준 최고치를 기록했다.

최근 재무부가 발표한 '관세 및 특정 소비세(Customs and Certain Excise Taxes)' 자료에 따르면 올해 누적 관세 수익은 1천830억 달러를 넘어섰다.

베선트 장관은 이전에도 관세 수익을 국가 부채 상환에 활용할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지난 5일 기준 미국의 국가부채는 37조 4천억 달러다.

한편 이번 발언은 트럼프 행정부가 글로벌 관세율을 유지하려는 노력과 맞물려 있다.

지난달 29일 워싱턴DC 연방순회항소법원은 관세 부과 권한이 의회나 기존 무역 정책 체계에 전적으로 귀속된다는 판결을 내렸다.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부과 행정명령의 근거로 삼은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이 대통령에게 수입을 '규제'할 권한을 부여하지만, 행정명령으로 관세를 부과할 권한까지 포함하지는 않는다는 의미다.

팸 본디 미 법무부 장관은 법무부가 이번 결정을 대법원에 항소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 사이 항소법원은 관세의 효력이 10월 14일까지는 유지된다고 결정했다.

베선트 장관은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변화를 위해 선출됐으며, 우리는 경제를 바로잡을 경제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syyoo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0시 58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