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피혜림 기자 = 롯데카드(AA-)가 대규모 고객 정보 유출 사고로 다시 도마 위에 오르면서 채권시장에서의 입지가 흔들리고 있다.

이미 다른 카드사 대비 소폭 높은 금리로 거래되고 있는 데다 고객 정보 유출 규모가 297만명에 달한다는 소식까지 더해지면서 보수적인 기관의 경우 투자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다만 이번 달 이미 주요 발행을 마친 터라 당장 조달 부담은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관련 업계에서는 수익자들의 분위기와 피해보상 대책 규모 등을 가늠하면서 신용등급 변화 여부를 살피고 있다.

19일 연합인포맥스 '장외채권 건별체결내역'(화면번호 4502)에 따르면 전일 거래량 100억원 이상 기준 롯데카드 채권은 민평보다 3bp 높게 거래됐다. 잔존 만기가 2년 4개월가량 남은 채권이었다.

같은 날 일부 은행계 카드사가 유사한 잔존 만기 온라인카지노 게임을 민평보다 낮은 금리로 유통한 것과 대조적이다.

카트채 유통시장 거래 내역(2025.9.19 기준)
출처 : 연합인포맥스 '건별체결내역'(화면번호 4502)

관련 업계에서는 롯데카드의 대규모 고객 정보 유출 사태가 온라인카지노 게임 가격 측면의 부담으로 작용했다고 해석하고 있다.

최근 레포펀드 유동성에 힘입어 여전채(여신전문금융회사채)가 강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롯데카드는 개별 리스크를 피하지 못한 셈이다.

특히 이번 사태의 경우 개인정보 유출 규모가 297만명으로 밝혀지는 등 사태가 나날이 확산하고 있다.

전일 이재명 대통령이 롯데카드의 해킹 사고에 대해 "잘 챙겨보라"는 지시에 나선 데 이어 조좌진 대표는 피해액을 전액 보상하겠다며 대국민 사과에 나서기도 했다.

금융당국 또한 엄정 제재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사태가 일파만파로 번지는 가운데 기존 투자자들의 경우 일단 관망 분위기가 짙은 상황이다.

온라인카지노 게임시장 A 관계자는 "여기서부턴 수익자의 결정 영역"이라며 "아직까진 수익자들이 물량 매도 보단 관망 기류가 짙어 유통시장에 물량이 많이 나오지는 않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대형 기관 입장에선 당분간 롯데카드 투자는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온라인카지노 게임시장 B 관계자는 "사실 신용등급 하락 리스크로까진 보고 있지 않아 '밀리면 사자' 움직임도 나올 수 있지만 헤드라인 리스크가 불거진 만큼 일부 대형 기관 투자자는 당분간 사기 부담스러울 것"이라며 "현재 시장 거래 수준이 롯데카드의 이번 리스크를 바라보는 정도"라고 짚었다.

롯데카드의 조달이 당장 급하지 않은 점은 부담을 낮추는 요소다.

롯데카드는 이번 달에만 두 차례에 걸친 온라인카지노 게임 발행으로 총 4천200억원을 마련했다. 이번 달 차환 물량(2천700억원)을 웃도는 규모다.

해킹 사고로 이달 초 금융당국의 현장검사를 받는 상황 속에서도 민평보다 낮은 금리로 조달을 마쳤다.

대국민 사과 전일인 17일에도 1천700억원을 언더 금리로 발행했다.

다만 내달부터 연말까지 1조650억원의 온라인카지노 게임이 만기를 맞는다.

롯데카드의 피해보상 규모와 신용등급 영향 등은 헤드라인 리스크와 더불어 수익자의 결정을 뒷받침할 요소다.

신용평가사 역시 이번 사태를 두고 소비자 피해액과 과징금, 회원 기반 변화 여부를 살피고 있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전일 보고서를 통해 롯데카드가 이번 해킹 사고로 최대 800억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나신평은 과징금 범위가 지난해 롯데카드 당기순이익의 20~60% 수준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거푸 헤드라인 리스크가 부각되고 있는 점도 부담 요소다. 롯데카드는 해킹 사태 이전에도 팩토링온라인카지노 게임 거액 연체 발생 등으로 온라인카지노 게임시장의 우려를 샀다.

온라인카지노 게임시장 C 관계자는 "과징금이 한해 이익의 60% 정도 수준이라면 등급 조정 가능성보단 일회성 이벤트로 끝날 가능성이 커 보인다"며 "하지만 롯데카드의 경우 그동안 부정적인 뉴스들이 쌓여있던 터라 온라인카지노 게임시장에선 이번 사태의 심리적인 무게감이 가중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phl@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09시 04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