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오진우 기자 = 우리나라 이공계 석사 및 박사급 인력의 절반 가까이, 특히 20~30대 젊은 층의 70%는 해외 이직을 희망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상대적으로 빈약한 보상과 연구 생태계를 이직 희망의 이유로 꼽았는데, 이들에 대한 보상 체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은행은 3일 '이공계 인력의 해외유출 결정요인과 정책적 대응방향' 보고서를 통해 이런 분석을 내놨다.

한은은 국내외 이공계 석ㆍ박사급 인력 2천70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국내 근무 인력의 42.9%가 향후 3년 내 해외 이직을 고려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특히 20~30대 젊은 인재의 해외 이직 희망 비율은 70%에 달했다.

구체적인 이직 계획을 수립 중인 비율도 전체적으로 약 6%에 달했다.

20대와 30대는 10% 이상이 구체적인 해외 이직 계획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종사 분야 별로는 바이오 및 제약, 의료기 분야 인재의 해외 이직 희망 비율이 48.7%로 가장 높았다.

IT 및 소프트웨어, 통신 분야도 45%에 육박했다.

기계 장비나 조선 및 플랜트 등도 일제히 40% 이상의 인재가 해외 이직을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소속 기관별로는 공기업 소속 인재의 해외 이직 희망 비율은 53%에 달했다, 정부와 지자체 소속 인재도 52%가 해외 이직을 꿈꿨다. 대기업 소속 직원도 약 49%가 해외 이직을 희망했다.

한국은행

이처럼 이공계 인재가 국내보다는 해외 이직을 선호하는 가장 큰 이유는 보상 수준이다.

응답자의 중 해외 이직 고려 사유로 금전적인 이유를 1순위로 꼽은 비율은 41%에 달했다.

이밖에 연구 생태계 및 네트워크를 1순위로 꼽은 비율도 22%를 넘었다. 세 번째는 경력 기회 보장(약 9.5%)이 거론됐다.

이공계 인재에 대한 보상이 부족한 것은 물론 연구 환경도 해외와 대비해 열악하다는 것이다.

한은은 실증 분석 결과 소득 만족도가 '보통'에서 '만족'으로 개선될 경우에 인재의 해외 이직 확률은 4.0%포인트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고용 안정성이나 승진 기회 등의 만족도 개선도 해외 이직 확률을 낮췄다.

그런 만큼 한은은 우수 인재 확보를 위해 우선 금전적인 보상 체계를 혁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은은 "성과에 기반하는 유연한 보상 체계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면서 "이를 위해 정부는 인적자본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 실효성 강화, 핵심 인력에 대한 소득세 감면 등 세제 인센티브를 포함한 제도적 지원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은은 이어 "석사급 연구 인력들이 국내에서도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예측할 수 있는 경력 트랙 정비, 해외 연구기관 및 연구자와의 교류 강화, 첨단 인프라에 대한 접근성 제고 등을 통해 R&D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jwoh@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2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