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산 2만4천호·분당 1만2천호·부천중동 2만2천호 등

연내 2곳 이상 정비구역 지정

1기 신도시 선도지구 현황
[출처: 국토교통부]

(서울=연합인포맥스) 주동일 기자 = 정부가 9·7 대책의 후속조치로 1기 신도시 선도지구 물량 상한을 기존 2만6천호에서 7만호로 대폭 늘렸다.

연내 정비구역은 2~3곳 이상 지정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국토교통부는 경기도, 고양특례시, 성남시, 부천시, 안양시, 군포시 등 1기 신도시와 협의체를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

국토부와 지자체는 협의를 거쳐 선도지구 물량 상한을 기존 2만6천호에서 7만호로 대폭 늘렸다.

지정 가능한 선도지구 물량 상한은 고양 일산 2만4천800호, 성남 분당 1만2천호, 부천 중동 2만2천200호, 안양 평촌 7천200호, 군포 산본 3천400호로 총 6만9천600호다.

주민제안 방식으로 진행하는 후속사업 선정 방법도 논의했다. 정부는 9·7 공급대책에서 1기 신도시 정비사업 방식을 기존 선도지구 공모방식에서 주민제안 방식으로 바꾸기로 했다.

국토부는 노후계획도시정비법을 개정해 선도지구에만 적용했던 주민대표단·예비시행자 등 패스트트랙의 적용 대상을 후속사업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공모절차를 없애고 사업기간을 최소 6개월 이상 단축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11월 국토부가 선정한 1기 신도시 15개 구역 중 7곳은 정비계획을 지자체에 제출해 특별정비구역 지정을 위한 사전검토를 받고 있다.

나머지 8개 구역 중 5개 구역도 사업방식을 확정하고 정비계획을 마련하고 있다.

국토부는 현재 사업속도를 감안했을 때 연내 2~3곳 이상의 정비구역 지정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과거 재개발·재건축 과정에서 정비구역 지정까지 통상 30개월이 소요된 것과 비교하면 18개월 이상 빠르다.

국토부는 지자체와 협력을 강화하고 2030년까지 6만3천호를 착공하기 위해 정책적 지원방안도 마련하기로 했다.

diju@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6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