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연합인포맥스) 정지서 온다예 기자 = 대통령실은 한미 간 무역합의 세부 내용 중 '반도체 관세'와 관련한 양국의 입장이 다르다는 지적에 대해 "합의대로 발표했다"며 이견설을 일축했다.
김남준 대통령실 대변인은 30일 오후 경주 인터내셔널미디어센터(IMC)에서 열린 현안 브리핑에서 "한미 양국은 (반도체 관세 관련) 경쟁국인 대만에 비해 불리하지 않게 적용하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반도체 분야의 경쟁국 대만과 동등한 입지를 확보해서 불확실성을 제거한 결과"라며 "발표문은 양측의 합의를 통해 밝힌거고, 세부적인 마무리 사안은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시장 개방은 미국산 모든 상품에 대해 개방돼 있다"며 "이번 합의를 통해서 추가적으로 변경되는 사안은 없다"고 강조했다.
이날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은 자신의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관세협상 타결을 통해 한국산 제품에 적용될 관세율을 설명하면서 "반도체 관세는 이번 합의의 일부가 아니다"라며 우리 측과 배치되는 입장을 보였다.
또 "한국은 자기 시장을 100% 완전 개방하는 데도 동의했다"고 주장했다.
김 대변인의 언급은 러트닉 장관의 주장과는 달리 전날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양국이 합의한 내용을 그대로 발표한 것이며 양국간 이견은 없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김 대변인은 우리 정부의 발표가 미국 정부의 동의를 얻었다는 근거나 문서가 있느냐는 질문에는 "구체적인 상황은 향후 협의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추후 말씀드릴 수 있다"고 답했다.
우리가 미국산 수입 물품 중에 소고기 월령제 등의 조치가 현행 유지되느냐는 말에는 "미국산 상품에 대해 시장이 개방돼 있고 추가적인 변경된 사항은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김 대변인은 전날 합의된 사항에 대한 팩트시트의 공개 시점에 대해선, "조인트 팩트시트를 말씀드릴 수 있거나 합의가 되면 팩트시트를 발표할 수 있고, 별도의 한국 측의 팩트시트는 들은 바 없다"고 말했다.
jsjeong@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