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윤시윤 기자 = 올해 주식시장 랠리에도 글로벌 자산운용사 뱅가드는 장기 투자자라면 채권 비중을 더 높게 가져가는 보수적인 전략이 안전하다고 조언했다.

6일(현지시간) 비즈니스인사이더(BI)에 따르면 뱅가드는 기존의 전통적인 60 대 40 자산 배분 모델보다 더 보수적인 70 대 30 비율, 즉 자산의 70%를 채권에, 30%를 주식에 투자하는 것이 향후 10년 동안 더 나은 수익률을 가져다줄 수 있다고 밝혔다.

뱅가드의 자산배분 모델(Vanguard Asset Allocation Model)은 초기 밸류에이션을 바탕으로 향후 10년간의 수익률을 예측하는 방식이다.

이 모델에 따르면 현재 시장에서 가장 유리한 자산배분 전략은 채권 비중을 높이는 것이다.

최근 주식시장이 4월 중순 저점 이후 급등하며 밸류에이션이 높아진 상황에서, 주식에 대한 기대 수익률은 역사적 평균을 밑돌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뱅가드는 향후 10년간 미국 주식의 연평균 수익률을 3.3%∼5.3%, 채권은 4%∼5%로 전망하고 있다.

뱅가드는 보고서에서 "지속되는 주식 강세에 따라 앞으로 미국 주식이 장기 평균보다 낮은 수익률을 보이고 상대적으로 채권이 더 매력적일 것"이라며 "현재 미국 주식시장은 적정 가치 범위의 최상단을 크게 초과한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표적으로 로버트 실러 예일대 교수가 고안한 CAPE(Cyclically Adjusted Price Earnings Ratio) 지수는 2021년, 2000년, 1929년과 유사한 수준에 근접해 있다. CAPE 지수는 실질 수익 기준의 10년 평균과 비교한 주가 수준으로, 해당 시기 이후 주식시장은 큰 폭의 하락을 겪은 바 있다.

또한 현재 주식 위험 프리미엄, 즉 주식이 무위험 자산보다 얼마나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도 역사적으로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는 밸류에이션 기준으로 보았을 때, 위험자산인 주식이 안전자산인 채권 대비 매력이 떨어진다는 의미다.

반면 미국 국채 10년 만기 금리는 약 4.2% 수준이며, 이처럼 높은 금리는 주식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투자자들이 보다 높은 수익을 추구하기보다 안정적인 수익을 선호하는 흐름이 강해질 수 있어서다.

다만 뱅가드는 이러한 전망이 향후 10년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투자 기간이 30년 이상으로 길다면 여전히 주식이 채권보다 높은 수익률을 보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syyoo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08시 2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