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선미 기자 = 정부가 외국인의 원화거래 불편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고자 국내 외환시장을 24시간 개장하고 역외에서 원화결제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미국 투자자도 현지에서 원화 시장 참여를 가능하게 하고, 역외에서 외국인간 원화 거래를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규제완화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기획재정부는 26일 외국인의 원화거래 접근성이 저해됨에 따라 MSCI 선진국지수 편입 전망이 약화한 점 등을 고려해 이같은 개선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MSCI는 역외(Offshore)에서 활성화된(Active), 인수도 가능(Deliverable)한 외환시장을 요구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유엔총회 순방을 계기로뉴욕증권거래소에서 열린 한국투자설명회에서 국내 외환거래 시간 제한을 완전히 없애고 역외환 거래시장 부재 문제를 빠른 시일 내에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거래시간을 24시간 연장해 미국 소재 투자자들의 거래 공백을 해소하겠다는 계획이다.
현재 새벽 2시까지 외환시장이 운영되면서 런던을 중심으로 한 유럽 투자자들까지 거래가 가능해졌지만 미국 시간대 거래에는 제한이 있었다.
역외 차액결제선물환(NDF) 수요도 일부 국내 현물환 시장으로 전환하겠다는 포석이다.
외국인의 국내증권 잔액 비중 미국인 투자자들의 비중은 28.9%로 주요국 중 가장 높다.
또한 정부는 거래시간을 24시간 연장했을 때 충분한 거래량을 확보하고자 외국인이 역외에서 원화결제가 가능하도록 시스템도 구축할 예정이다.
가칭 '역외 원화결제 기관' 제도를 도입해 외국 금융기관이 국내에 원화 계좌를 두고 이를 통해 원화를 직접 운용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외국인간 원화거래, 보유(예금), 조달이 자유롭게 가능하도록 규제를 완화할 것이라고 정부는 밝혔다.
외국 금융기관끼리 야간시간에 거래할 때 원화결제가 가능하도록 한국은행에 24시간 결제망(가칭 '역외 원화결제망')도 새롭게 구축한다.
현재 한국은행 결제망(BOK-wire)은 오전 9시~오후 5시까지만 운영해 야간 결제에는 한계가 있다.
정부는 외환시장의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포함한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을 위한 종합 로드맵'을 연내 발표하고 이를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MSCI는 매년 6월 국가 분류를 조정하며 최소 1년간 관찰 후 편입 여부를 결정한다.

smjeong@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