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노현우 기자 = 우리나라의 잠재성장율이 0%대로 떨어질 경우 초장기 국고채의 발행 증가세가 지속할지도 시장 참가가자들의 관심사다.

12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국고채의 평균 잔존만기는 지난 2013년말 6.50년에서 지난해말 13.16년으로 지속해서 상승세를 나타냈다.

이는 장기 국고채 발행 비중이 확대된 데 따른 영향으로, 만기가 10년 넘게 남은 국고채 비중은 지난 2017년 30.2%에서 작년 44.5%로 확대됐다.

올해 들어선 20년 이상 장기 국고채 발행이 지난해보다 늘어나는 추세다.

기재부는 지난 7일 확정된 추가경정예산을 반영해 20년 이상 장기 발행 비중의 중간값을 종전 35%에서 40%로 상향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 상황과 수급을 고려한 조치로, 전 거래일 국고채 30년 지표물 금리는 2.552%로, 10년 지표물(2.672%)보다 12bp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재정 당국 입장에선 시장 수요가 많아 금리가 낮게 형성된 구간 발행을 늘릴 경우 조달 비용을 낮출 수 있다.

국고채 평균 잔존만기
기재부

향후에도 초장기 금리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 머문다면 장기 발행 비중이 높게 유지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배경이다.

우리나라보다 인구 고령화를 먼저 겪고 저성장에 진입한 일본의 경우에도 부채의 장기화가 관찰된다.

일본 국채의 발행 잔량 중 10년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2014 회계연도 25.6%에서 2023 회계연도 33%로 늘었다.

일본은 초장기물 관련 보험사 등 시장 수요를 정책에 반영한다.

일본 재무성은 '국채시장 특별참가자회의'를 분기별로 개최해 시장 의견을 수렴한다.

지난 3월 회의에선 최근 장기물 금리 상승과 관련 발행액 재검토의 빈도와 중요성이 커졌다는 발언이 나온 것으로 전해진다. 초장기 국채 발행 규모를 줄여달라는 의미다.

우리나라에도 보험사들과 소통 창구인 장기투자자협의회와 국고채 전문딜러(PD)와 소통을 위한 PD협의회가 있다.

국고채 발행의 절대적 규모가 커질수록 시장과 소통은 더욱 중요해질 것이란 의견이 나온다.

향후 일본처럼 중앙은행의 국채 매입이 이뤄진다면 중앙은행과 재정당국의 공조도 중요해질 수 있다.

채권시장의 한 참가자는 "정부가 정책을 만들지만, 조달 주체란 사실엔 변화가 없다"며 "시장 수요 등을 반영해야 이자 비용을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

국고채 이자비용은 지난 2019년 약 11조 원에서 2023년 19조 원 수준으로 증가했다.

국채 발행 잔량 만기별 비중 추이
일본 재무부

hwroh3@yna.co.kr

(끝)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0시 05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