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간 종가 기준 5월 13일 이후 최고
(뉴욕=연합뉴스) 최진우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달러-원 환율이 야간 거래서 상승 폭을 더욱 확대하며 1,410원 턱밑에서 마감했다.
미국의 2분기 경제 성장률이 시장 예상을 큰 폭으로 웃돌자 '달러 강세-원화 약세' 흐름이 나타났다.
26일(한국시간) 새벽 2시 달러-원 환율은 전장 서울환시 종가 대비 11.80원 오른 1,409.30원에 거래를 마쳤다.
야간 기준으로 지난 5월 13일(1,416.30원) 이후 4개월여만에 가장 높다.
이번 장 주간 거래(9시~오후 3시 반) 종가 1,400.60원 대비로는 8.70원 높아졌다.
미 상무부에 따르면 계절 조정 기준으로 올해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확정치는 전기 대비 연율로 3.8% 증가했다.
전분기(-0.6%) 대비해서 큰 폭으로 반등한 것이다. 시장 전망치와 잠정치인 3.3% 성장보다 0.5%포인트 높다. 지난 2023년 3분기(4.7%) 이후 약 2년 만에 가장 높은 성장이기도 하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인덱스(DXY)는 단숨에 98선을 돌파하며 상승 곡선을 이어갔고, 달러-원 환율도 이와 맞물려 장중 고점인 1,411.00원까지 튀었다.
미국의 주간 고용지표도 달러에 강세 압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미 노동부에 지난 20일로 끝난 한 주 동안 신규 실업보험 청구 건수는 계절 조정 기준 21만8천건으로 집계됐다. 시장 전망치(23만5천건)를 하회했다.
코메리카 은행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빌 애덤스는 "GDP와 실업수당 청구 자료는 8월 부진한 고용 보고서 등 고용 데이터 하향 수정으로 촉발된 불안 국면을 완화해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올해 고용은 저속 기어 상태에 있지만, 경제 성장은 탄탄하며 9월에 고용시장이 약화한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부연했다.
오전 2시 18분께 달러-엔 환율은 149.770엔, 유로-달러 환율은 1.16685달러에 거래됐다. 역외 달러-위안 환율은 7.1443위안에 움직였다.
엔-원 재정환율은 100엔당 940.65원을 나타냈고, 위안-원 환율은 197.49원에 거래됐다.
이날 전체로 달러-원 환율 장중 고점은 1,411.00원, 저점은 1,398.80원으로, 변동 폭은 12.20원을 기록했다.
야간 거래까지 총 현물환 거래량은 서울외국환중개와 한국자금중개 양사를 합쳐 162억4천500만달러로 집계됐다.
jwchoi@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