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수인 기자 = 대미 관세 영향 본격화로 제조업 체감경기는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수출기업의 부정적 전망이 하락세를 주도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전국 제조기업 2천275개 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2025년 4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BSI)'가 74로 집계됐다고 28일 밝혔다. 3분기 전망치보다 7포인트(p), 작년 4분기에 비해서는 11p 하락한 수치다.
올해 들어 2분기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던 BSI지수가 다시 꺾였다. BSI지수는 2021년 3분기 이후 17분기 연속으로 기준치 100 이하를 기록하고 있다.
모든 업종의 전망치는 기준치 100에 미치지 못했다.
특히 관세 발효 및 고율관세 부과 예고로 자동차(60), 철강(63) 등 수출기업(마이너스(-)13p)의 전망치가 내수기업(-5p)보다 큰 낙폭을 보였다.
건설경기 부진과 공급과잉의 영향으로 비금속광물(56), 정유·석유화학(63) 업종의 전망도 어두웠다.
화장품(69)과 제약·바이오(87) 업종의 경우 2분기 전망치가 각각 113, 109로 기준치를 상회했었으나 1분기 만에 100 이하로 떨어졌다. 화장품의 경우 주춤한 수출상승세와 함께 미국의 소액소포 면세 혜택 폐지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제약·바이오 업종은 미국의 수입 의약품 고율관세 부과 예고로 불확실성이 커지며 부정적 전망으로 돌아섰다.
지역별로 봐도 전 지역에서 BSI 전망치가 기준치를 밑돌았다.
특히 대구(60), 경북(68), 부산(66)은 관세 여파로 지수가 70선 이하를 기록했다. 대구의 경우 자동차 부품 및 섬유산업의 관세 부담이 영향을 미쳤고, 철강, 전자업종 비중이 높은 경북과 금속, 기계 업종의 비중이 큰 부산도 부정적 전망이 우세했다.
해당 조사는 전국 업체 2천275개 사를 대상으로 지난 1일부터 12일까지 진행됐다.
sijung@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