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대응팀 구성·운영해 24시간 비상근무 체계

(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기자 =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8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한 산업부 정보시스템의 피해 상황을 점검하고, 주요 조치사항 및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시스템 장애로 온라인 처리가 불가한 신청인의 인허가 신청 등은 수기를 동원해 접수할 방침을 정했다. 인허가 결과는 서면 및 팩스 통보와 유선전화, 유관기관 홈페이지 등을 통한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전략물자 수출심사 등은 임시 대국민 서비스 신청 및 처리 방법을 무역안보관리원 홈페이지에 게시한다. 예스트레이드(Yestrade) 회원사(5만여개사) 전체에 안내 이메일을 발송했다. 임시 처리 방법으로 이메일 등을 통해 전략물자 판정 및 수출 허가 신청을 받고, 오프라인 심사에 따른 심사 지연이 발생하지 않도록 심사 인원을 확충할 예정이다.

불공정 무역행위 사건 신청 접수와 조사 통보는 서면으로 진행된다. 종결 사건은 팩스 또는 우편으로 공문을 발송하기로 했다. 광업권 허가 신청과 전카지노 입플업 인허가 등에도 가용한 수단을 모두 활용할 계획을 세웠다. 산업부 인스타그램, 엑스(X·옛 트위터), 유튜브 등 소셜미디어(SNS)에 산업부 업무별 연락처를 공개해 국민들이 직접 연락을 취할 수 있도록 했다.

산업부는 지난 26일부터 비상대응팀을 구성·운영해 24시간 비상근무 체계로 돌입했다고 전했다. 산업부 정보시스템 전수 조사 결과, 산업부와 상당수 소속기관 대표홈페이지, 내부 행정 시스템 등 21개(대국민 서비스 11개, 내부 업무서비스 10개) 시스템이 접속이나 작동되지 않고 있다.

김 장관은 장애시스템의 복구가 장기화할 경우에 대비해 현재 진행 중인 사업공고, 공지사항 등을 전수 점검했다. 더불어 공공시스템에서 추가적인 사이버 사고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인터넷 서비스 장애 발생 예방, 사고 발생 시 신속 조치, 사이버안전 및 개인정보보호 등 정보통신망의 안정적인 사용보장과 국민들의 불편에 대한 최소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출처: 연합뉴스 자료사진]

jhlee2@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5시 23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