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회담 성과…내년 '과학기술공동위원회' 개최
(경주=연합인포맥스) 최정우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미국과 인공지능(AI) 산업 가속화와 차세대통신, 바이오, 양자, 우주 등 핵심 기술 개발에 협력한다는 내용의 '한미 기술번영 업무협약(MOU)'을 체결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MOU는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주간에 개최된 한미 정상회담의 성과로, 양국 정부를 대표해 배경훈 과기정통부 부총리와 마이클 크라치오스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장이 서명을 하게 된다.
양국의 첫 번째 협력 분야는 'AI 응용 및 혁신의 가속화'다.
이를 위해 혁신 친화적인 AI 정책 프레임워크를 공동으로 개발하고, AI 전 분야에 걸친 AI 기술 수출을 협력하는 등 아시아 및 기타 국가의 역내 공동 AI 생태계를 조성한다.
두 번째 협력 분야는 '신뢰할 수 있는 기술 리더십'이다.
AI뿐 아니라 차세대 통신, 제약·바이오기술 공급망, 양자 혁신, 우주 탐사 등 핵심기술 분야의 실행 방안에 대해 양국 협력을 강화해 기술 리더십을 구축한다.
또한 핵심 신흥기술 분야 연구개발 전반에서 연구 안보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같이하고, 기초연구와 인력교류를 적극 지원해 양국의 과학기술 협력 기반을 강화할 계획이다.
양국은 기초연구와 전략기술, 연구 안보를 포괄하는 기술 동맹으로 협력을 확장하고, 글로벌 경쟁에서 리더십을 확보하는 데 한 걸음 나아갈 것으로 보고 있다.
MOU 발표에 이어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과 백악관 마이클 크라치오스 과학기술정책실장은 양자 면담을 통해 이번 MOU의 이행 방안을 논의한다.
이번 논의를 토대로 오는 2026년 한미 과학기술공동위원회를 워싱턴 D.C.에서 개최하고, 보다 구체적이고 발전된 협력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은 "이번 MOU는 사람 중심의 포용적 AI와 민간 주도의 혁신을 바탕으로 양국이 함께 기술 주권을 키우게 될 것"이라며 "한미 간 AI 연구개발 및 AI 풀스택 수출 협력 등은 우리나라가 AI 3대 강국으로 크게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jwchoi2@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