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기자 = 한국전력이 재생에너지 공급 확대 및 지역 분산형 에너지 체계 구축을 위한 '제1차 장기 배전계획'을 최종 확정했다고 29일 밝혔다. 한전은 분산에너지 확대에 맞춰 향후 5년간 총 10조원 이상을 투자할 예정이다.

이번 계획은 지난해 6월 시행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따라 처음으로 수립된 장기 배전계획이다. 2024~2028년까지 5년간 배전망 증설·운영 계획 및 관련 신기술·제도 등을 담았다.

한전이 전국 173개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향후 배전망에 연결될 분산에너지 용량을 예측한 결과, 배전망 연계 분산에너지는 작년 말 25.5GW(기가와트)에서 2028년 말 36.6GW로 약 4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호남권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보급이 확산할 것으로 예상된다. 분산에너지는 에너지를 사용하는 공간·지역 또는 인근지역에서 공급하거나 생산하는 에너지를 뜻한다.

한전은 분산에너지 적기 연계를 위해 5년간 약 2조원, 전우리카지노추천용자망에는 8조2천억원 등 총 10조2천억원(설비 유지·보수, 지중화 사업 등은 제외)을 투자할 계획이다.

정부와 협력해 AI(인공지능) 기반 배전망 운영을 위한 분산e 지능형 인프라 확대, 한전과 전력거래소의 전력계통운영 협조체계 강화, 배전계통 운영 신뢰도 기준 강화 등 안정적 전력 공급을 위한 정책도 적극 추진한다. 배전망 증설 및 운영계획 외에도 민간 협력 분산형 에너지 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을 병행한다.

분산 전력망 기술 로드맵은 하반기에 발표하기로 했다. DSO(배전망운영자) 얼라인어스(한전-민간 협의체)도 구성할 방침이다.

한전은 "이번 계획을 통해 정부의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을 이행함과 동시에 지속 가능한 에너지 생태계 조성에 앞장설 것"이라며 "지역에서 생산한 전기를 지역에서 사용하는 분산형 전력 시스템 기반을 마련해 국민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전기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출처: 연합뉴스 자료사진]

jhlee2@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5시 3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