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윤시윤 기자 = 중국 증시의 지속적인 상승세에도 이는 중국 본토 경제 성장을 크게 견인하지 못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9일(현지시간) 홍콩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루팅(陸挺) 노무라증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에선) 주식 투자가 전체 가계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작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가계의 대부분의 자산이 부진한 부동산 시장에 묶여 있는 상황이다.
중국 인민은행(PBOC)이 2019년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주식은 전체 가계 자산의 1.3%에 불과했고, 부동산은 60%를 차지했다.
루 이코노미스트는 "중국 가계 자산은 여전히 부동산이 지배적이어서 주가 상승이 가져올 수 있는 부의 효과는 제한적"이라며 "일부 투자자들이 주식시장 강세가 중국 경제를 되살리고, 특히 7월 주요 경제지표가 전반적 둔화를 시사한 이후 소비 회복을 이끌 것으로 기대했으나 실망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앞서 노무라는 올해 하반기 중국의 성장률이 크게 악화될 것으로 내다보면서, 가전 교체 지원 정책의 효과가 희미해지고 고율 관세가 수출에 타격을 줄 것이라고 분석한 바 있다.
중국 증시 규모는 12조3천억 달러 규모로 최근 두 달간 랠리를 이어가고 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지난 26일 3,888.60까지 오르며 10년 만의 최고치로 올랐다.
이는 은행 예금과 채권형 상품에서 자금이 이동한 결과다.
루 이코노미스트를 비롯한 일부 경제학자들은 유동성에 힘입은 이번 상승세가 일시적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반면 일부 펀드매니저와 막대한 개인투자자들은 더 많은 종목이 상승세에 합류하고 정부의 뒷받침이 이어지는 만큼 이번 랠리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른 주요 경제권에서는 주식 비중이 훨씬 크다.
공식 자료에 따르면 미국 가계의 경우 자산의 65%를 주식과 펀드를 중심으로 한 금융상품에, 약 25%를 부동산에 배분했다.
반면 역사적으로도 중국 경제는 증시의 단기 급등락에서 별다른 혜택을 얻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가 급등 후 급락 같은 변동성은 레버리지가 높은 상황에서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노무라는 덧붙였다.
노무라 보고서는 "2014∼2015년 증시 거품기에도 산업생산, 소매판매, 고정자산투자 등 핵심 지표들이 둔화세를 보였다"며 "이후 나타난 부동산 시장 반등은 정부의 경기부양 조치 덕분"이라고 분석했다.

syyoo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