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고수익 추구·자금구조 약화'가 원인…등급 전망은 '안정적'으로 변경
(서울=연합인포맥스) 이규선 기자 = 한국투자증권의 국제 신용등급이 '고위험-고수익' 사업 모델 추구에 따른 재무 건전성 우려로 한 단계 강등됐다.
2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Moody's)는 한국투자증권의 장기 외화 발행자 등급을 기존 'Baa2'에서 'Baa3'로 하향 조정했다. 단기 등급도 'Prime-2'에서 'Prime-3'로 낮췄다.
이번 등급 강등은 한국투자증권이 점진적으로 고위험-고수익 사업 모델로 전환하면서 자금 조달 구조가 약화한 점이 주된 원인으로 지목됐다. 무디스는 이에 따라 한국투자증권의 독자 신용도도 'Ba1'에서 'Ba2'로 낮췄다.
무디스에 따르면 한국투자증권의 위험 선호도는 동종 업계 경쟁사보다 높은 수준으로 평가됐다. 2025년 6월 말 기준 위험 선호 비율은 24.5%로 국내 경쟁사 평균(20%)을 웃돌았다. 무디스는 정부의 벤처캐피탈 투자 활성화 정책 등에 따라 이러한 기조가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내다봤다.
자금 조달 구조 약화도 문제로 지적됐다. 한국투자증권의 발행어음 규모는 자기자본의 174%(18조 원)에 달해 경쟁사보다 높다. 무디스는 만기가 1년 미만인 발행어음을 통해 조달한 단기 자금을 장기 기업금융 및 벤처캐피탈에 투자하는 '자산-부채 미스매치'가 심화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오는 9월 말 모회사인 한국 no 1 온라인카지노금융지주로부터 9천억 원의 자본 확충이 이뤄지면 발행어음 발행 여력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점도 언급됐다.
한국투자증권의 강력한 수익성은 강점으로 꼽혔지만 높은 변동성은 약점으로 분석됐다. 무디스는 "경쟁사보다 높은 위험-수익 추구 전략은 시장 상황이 악화될 경우 더 큰 이익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평가했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측면에서도 증가하는 위험 선호도와 자산-부채 불일치를 '거버넌스 리스크'로 평가했다.
다만 등급 전망은 기존 '부정적'에서 '안정적'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하향 조정된 'Baa3' 등급이 현재의 리스크 요인들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향후 등급이 상향 조정되려면 ▲장기 자금 조달을 통한 구조 개선 ▲위험 선호 비율 20% 수준 근접 ▲레버리지 비율 6배 미만 유지 등이 필요하다고 무디스는 밝혔다.
현재 국내 주요 증권사 중 미래에셋증권과 삼성증권은 한국투자증권보다 한 단계 위인 'Baa2' 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NH투자증권은 최근 발행 예정인 달러화 선순위 무담보 채권에 대해 이들보다 높은 'A3' 등급을 부여받았다.

kslee2@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