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공급망강화 보증상품 신설…K-스틸법 국회와 협의"

포스코·현대제철·동국제강·세아제강 등 한자리에

(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기자 =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철강산업의 위기 돌파를 위해 현장에서 업계와 해결 방안을 논의했다. 신규 보증상품과 특별법 등으로 지원하겠다고 시사했다.

김정관 장관은 19일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된 포항을 방문해 미래 경쟁력과 산업 안전의 핵심인 포스코 AI(인공지능) 고로와 수소환원제철 개발센터를 점검했다고 산업부가 밝혔다. AI를 통해 근로자 안전과 생산 공정 관리를 강화하고, 철강산업의 미래 경쟁력 확보를 정부가 적극 지원한다는 의지를 밝히기 위한 취지의 자리다.

주요 철강기업 사장단과 간담회도 진행했다. 포스코[005490], 현대제철[004020], 동국제강[460860], 세아제강[306200], 넥스틸[092790], TCC스틸[002710] 등 주요 철강사 대표와 한국철강협회 상근부회장이 참석했다. 글로벌 공급과잉과 수입재 침투, 미국과 고율 관세 부과 등 난제 속에서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에 관한 얘기를 나눴다.

김 장관은 "대미 관세 협상에서 철강 관세 면제를 강하게 요구했으나, 관철이 어려웠던 점에 대한 업계의 이해를 당부한다"며 "미국 측과 관세 완화 협의를 지속하고, 관세 후속 지원대책 이행, 우회덤핑 등 불공정 수입재 방어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더불어 "철강기업, 금융권, 정책금융기관이 함께 약 4천억원 지원 효과를 낼 수 있는 '철강 수출공급망강화 보증상품'을 신설하겠다"고 약속했다.

국내외 공급과잉은 업계와 품목별로 대응 방향을 검토했다. 철강산업과 지역 경제가 맞물린 만큼, 철강산업특별법(K-스틸법)이 핵심 정책과제를 담아 통과할 수 있도록 국회의 협의할 뜻도 강조했다.

업계는 공급과잉 대응에 대한 자구책을 고민 중이라고 전했다. 저탄소·고부가로 전환하고, 안전까지 챙기는 방향으로 가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정부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김 장관은 "저탄소 철강재 및 특수탄소강에 대한 인센티브 등 저탄소·고부가 전환을 지속 지원할 것"이라며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기업 관리 강화와 투자 확대를 해달라"고 했다.

산업부는 지난 1월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태스크포스(TF)'를 출범시켰다. 향후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을 향후 발표할 예정이다. 철강산업의 그린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기술인 '한국형 수소환원제철'은 내년부터 2030년까지 8천100억원 규모의 실증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출처: 연합뉴스 자료사진]

jhlee2@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8시 5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